.
개혁교회 운영에 대해서
교회는 거룩한 신적 기관이다
그렇게 때문에 세상적인 경영방식이나, 시스템이 교회안에 스며들면
교회는 세속적 종교회사가 된다,
물론 일부 어느 정도 단체나, 모임, 기관을 운영하는데 기본적인 상식, 행정이 필요하지만
그러나 오늘날같이 교회성장학, 경영컨설팅, 마케팅기법이 교회로 들어오면 이미교회가 아닌 세속적 기관이라고 봐야한다,
개혁교회는 철저하게 성경과 신학으로 교회를 운영해야 한다
1. 목회자는 성경적,신학적으로 교회가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교인들에게 분명한 교회의 방향을 제시해야한다, ( 청교도 ,정통개혁주의 신학 )
2.제직들도 ( 장로, 집사) 교회를 운영하는데 있어 자신들이 그만큼의 신학적, 성경적 분별력과 이해, 지식을 가지고 교회를 섬겨야 한다, 제직이라면 자신들이 과연 교회를 섬기고, 운영하는 일에 그만큼의 하나님을 아닌 지적, 체험적인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지 항상 주의해야 한다, 그 정도의 자격이 되지 않으면 제직이되어서는 안된다,
3.목회자와 제직들은 교회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협력,지원,연합을 해야한다 이일에있어서는 모든 책임과 의무를 하나님 앞에서 책임져야 한다, 교회를 소홀히 하고 방치하는 것은 가장 큰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무서운 죄다,
4.교회는 오직 성경적 복음, 예배,기도,성례,치리가 분명하게 있어야 한다, 교회가 존재하는 방식은 바로 그것이 아니면 안된다,
5. 교회는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이 모여 하나님의 경외하며, 섬기며, 사랑하고, 주님의 명령을 수행하는 거룩한 하나님의 기관이다,절대 인간의 기관이 되어서는 안된다,
6. 교회내의 분쟁과 다툼은 성령을 근심케 하는 일이다, 교회 전체는 거룩하신 성령님의 통제, 복종, 지시를 , 즉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교회의 일을 처리해야 한다,
7. 교회에서 항상 교인들에게 성경적,신학적 교육을 철저하게 지도해야 하고, 교인들은 반드시 그와 같은 거룩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쌓는 일에 온힘을 기울여야 한다,
8. 교회의 재정과 운영에 있어 목회자와 제직은 항상 공개적이고, 올바른 성경적 관점에서 운영하도록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9.교회는 거룩한 곳이다,그렇기 때문에 교회안에 세속적,인본주의적인 프로그램, 행사, 관습,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목회자와 제직은 항상 경계하는 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모든 일에 거룩함을 좇아야 한다, 교회가 거룩함을 잃으면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가 사라진다,
10. 교회는 모든 일에 하나님의 영광,임재,능력,존귀함을 드러나도록 목회자와 교인전체가 가장 큰열심과 노력, 헌신으로 섬겨야 한다,
개혁교인 만들기
개혁교회는
교인들을 철저하게 개혁교인으로 양육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잘못된 세속적, 인본주의, 비성경적 신학과 신앙에 무너지게 되고, 흔들리게 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개혁교인을 만드는 교육활동을 해야 한다,
1. 개혁도서 읽기를 실행하라 -각 부서마다,전 교인들에게 매달 책을 선정해서 청교도 ,개혁주의 책들을 읽도록 권장, 시행해야 한다 ( 개혁주의 도서관을 만들어라 적은 규모라도 만들어라) 그리고 서평발표.독서평가,등을 반드시 하라,
2. 교육부서를 나눌? - 시편찬송가 배우는 부서, 개혁도서 읽는 부서, 개혁신학 강좌를 배우는 부서, 교리문답을 배우는 부서 , 종교개혁자 배우는 부서 등을 만들어서 교인들에게 개혁교회에 대해서 기초 토대를 튼튼하게 해야 한다 특히 유아, 초등 청소년, 청년부서에 대해서는 개혁교회에 대한 역사와 지식을 쌓도록 전문적인 교육을 실행하라,
3., 전 교인이 교리문답에 있어서 철저한 이해와 배움이 있도록 하라 - 주일 오후나 저녁은 반드시 교리강론 ( 웨스터민스터 대소요리, 벨직 신앙고백 , 돌트신경해설,하이델 베르그 교리,로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반복해서 설교하라,
'신앙의 지평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령과 진정의 예배 (0) | 2012.02.08 |
---|---|
[스크랩] 개척의꿈 (0) | 2012.02.08 |
[스크랩] 개혁주의 교회론 요약 (0) | 2012.01.20 |
[스크랩] 이근안에게 목사 안수 준 교단은? (0) | 2012.01.19 |
[스크랩] 교리를 가르치는 일의 절대적 중요성과 가치 (0) | 201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