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배 · 교육 자료실

[스크랩] 재정 관리

by 낮은곳에 서서 2012. 5. 20.

 

재정 관리

 

1. 재정 관리의 의미와 중요성

1) 교회에서의 재정이란 교회가 그의 활동을 위한 경비를 조달 , 관리, 사용하는 경제활동 을 말하며 재정 관리란 그 조달과 지출에 대한 관리를 말한다

2) 재정 관리는 구제, 봉사, 선교,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이 요구되는 현대 교회의 효 과적인 교회 활동을 위하여 교회의 존립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3) 재정 관리의 요체로는 재원계발과 수입확보, 예산의 편성 심의 확증과 집행, 그리고 회 계 기록과 검사가 있다.

 

2. 재정 관리자와 담당자

1) 자격 요건 : 재정 업무 관련자는 업무의 성격상 신앙적 측면과 인격적 측면과 기능적 측 면에서 일정한 자격을 갖춰야 한다.

①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 (행 6:1-6)

② 교인의 의무를 다하며 다른 사람의 모범이 되는자

③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

④ 천지기 교육 및 재정 관리에 관한 교욱을 받은 사람

⑤ 회계 및 컴퓨터 관련 지식이나 기능이 있는 사람

 

3. 예산과 결산

1) 예,결산의 정의 : 예산은 교회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일정 기간 (회계연도)의 수입과 지 출의 예정 계획이며 결산은 이를 집행하고 난 후의 집행의 결과 보고 이다.

2) 예산의 기능 : 모든 교회 활동은 예산에 의해 집행되기에 교회 활동을 가능케 하는 동시 에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① 교회 활동의 기준이 된다

② 교회 재정 지출의 합법적 근거가 된다 (재정 통제 기능)

③ 교회 활동의 효과적이 관리 기능 ( 행정 관리 기능)

④ 교회의 미래를 설계하는 발전 수단의 역할을 한다.

3) 예산의 종류

① 일반 회계 예산 : 교회의 모든 수입 지출을 계상하는 일반적인 교화 활동에 대한 보통 예산이다

* 사례비. 교회 유지 관리비. 교회 학교 운영비 등

② 특별 회계 예산 : 한시적인 특별한 목적의 활동을 위한 예산을 말한다

* 건축비. 장학 재단 설립 등

 

4. 예산의 단계별 과정

1) 예산의 편성 : 회계 년도는 통상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하며 예산 편성의 가장 기초 자료는 목회 계획서이다. 목사는 통상 회계연도 시작 5~6개월 전에 목회 계획서를 작성하여 이를 기준으로 관련 기관이나 해당 부서에서 이 를 근거로 세부 계획과 필요 예산을 책정하여 제출 토록한다

2) 예산의 심의 : 기관이나 소관 부서의 요구 예산을 재정 담당 부서와 재정 위원회에서 목 회 계획과 예산 범위 내에서 효율성과 집행의 선,후를 조율하고 심의 한 후 11월 말 경 까지 보통 예산 심의를 의하여 구성하는 예산심의 위원회 의 최종 심의를 거쳐 확증한 후 회기 계시 10일 전까지 공동제직회에 상 정하고 최종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3) 예산의 집행 : 예산의 집행은 당해 교회 활동의 계획에 의한 예산 요구서(품의서)에 집행 하며 재정의 지출 결의 및 증빙서류 등의 정확한 근거를 남겨야 하며 회 계는 이를 근거로 철저한 기장을 요한다.

4) 예산의 검사 : 회기 년도가 끝난 이후 그 집행의 정당성과 정확성에 대한 검사가 있어야 한다. 이는 다음 회계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며 특별히 회기 중이라도 필요시 검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재정의 정확한 집행을 위해 꼭 필요하다

 

5. 예산의 과목과 분류

1) 조직별 분류 : 교회의 각 기간별 분류에 의한 교회학교, 성가대, 전도대 등의 기관 부서 별 예산이 있다.

2) 기능별 분류 : 지출의 내용상의 분류에 의해 교회 수선 유지비, 물품 구입비, 사례비등의 예산이 있다.

 

 

 

 

* 참고자료

- http://www.dimode.co.kr

교적 관리 및 재정 관리 프로그렘 무료 다운 로드 ( 개척-1000명 교인 관리 가능)

- 미션 청지기

교적 관리 및 교회 재정관리 프로그렘

 

- <종교 법인의 세무와 교회 재정관리>

김정남 도서출판 영남 2004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